대구무형유산
모필장


붓은 서화(書畫)에 사용하는 도구로써, 문방사우(文房四友)의 하나이며 짐승의 털을 모아 나무관으로 고정시킨 것이다. 진(晉)나라의 장화(張華)가 쓴 (박물지(博物志))에는 BC 3세기에 몽염(蒙恬)이 만들었다고 되어있으나 이것은 문헌분석과 출토유물에 의해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은대(殷代)의 갑골(甲骨) 가운데 붓으로 쓴 듯한 것이 출토되었고, 갑골문과 금문(金文) 가운데 붓을 뜻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글자들이 있고, 신석기시대 말인 용산(龍山)과 앙소(仰韶)의 채색토기에 붓이 아니면 묘사할 수 없는 그림이 있는 것으로 보아 BC 2500년 이전부터 붓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는 1932년 평양 정백리(貞柏里) 제121호 고분에서 털 부분만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중앙에 심을 넣고 주위를 털로 싼 것으로 중국의 쥐옌(居延)에서 출토된 BC 1세기의 붓과 비슷하다. 1988년 경상남도 창원 다호리(茶戶里)에서 완전한 형태의 붓 5자루가 발견되었다.
보유자 | 이인훈 | 李仁勳


- Profile
- 1代 이달호
- 2代 이상재
- 3代 이인훈 (선친으로부터 전수 1960年~)
- 2004 6月10日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 15호 모필장 지정
- 2005 APEC 2005 KOREA 5개 국어로 번역 각국 보도
- 2006 남북 전통 공예 교류전 출품 전시
- 2008 중요 무형문화재 보유자 작품전 출품 전시
- 2008 부천 세계 무형문화 유산 엑스포 기획전 출품 전시
- 2008 2008년도 국립 국어원 출판 - 민족 생활어 조사
- 2008 문화재청 일본 주일한국대사관 기증 (전시회출품작)
- 2010 부천 세계 무형문화유산 엑스포 시연
- 2014 대전 대구 무형문화재 교류전 출품 전시
- 2015 경복궁 궁중문화축전 초청 소주방 개관식 전시출품(영구보존)
- 2019 대경일보‘무형문화재 전승자를 찾아서’보도
- 2003~21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제전
- 2021 SBS드라마‘홍천기’협찬
- ※전직 대통령 소장 및 기증
- ※각종 언론 (신문, 방송, 영화, 드라마, 서적 등) 100여 차례 보도
전승교육사 윤경숙
전승교육사 이석현
총 개, 1 / 페이지

No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Copyright 대구무형유산전수교육관 All Rights Reserved.
이 제작물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글꼴을 사용하여 디자인 되었습니다
이 제작물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글꼴을 사용하여 디자인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