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무형유산


대고장

대고장

‘동국여지승람’에 상고시대 제천의식 연행과정의 하나로 종고잡희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부여(扶餘)에서도 천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가무로서 즐기던 행사를 영고(迎鼓)라 하였다. 예로부터 북은 오랫동안 우리민족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아 멋과 흥을 일구어낸 한국의 대표적인 타악기로 손꼽힌다. 때로는 지상의 모든 축생들을 제도하고 마군을 물리치는 종교적인 의미가 함축되어 있거니와 군영에서 병사들을 통솔할 때도 당당히 그 위력을 발휘하였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낙랑공주와 호동왕자의 비련이 담긴 자명고에 얽힌 애틋한 사연도 인간의 솜씨를 초월한 신기의 북과 연관된다. 조선시대에는 백성들의 억울함을 호소하던 신문고도 역사적 측면에서 되새겨 봄직하다. 북은 팔음(八音)악기 중 혁(革)부에 속하는 악기로 분류된다. 그러나 북을 만드는 재료보다는 그 재료를 이용하여 명기(名器)로 생명력을 불어넣기까지 참으로 어려운 작업이 뒤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유자 | 김종문 | 金鍾文

프로필사진
  1. Profile
  2. 1947 이원석 선생 전수
  3. 1988 사물북(로프쐐기북) 최초 고안제작
  4. 1992 달구벌 축제, 대고 기증
  5. 1992 국악기 합동전시회(대구시민회관)
  6. 1993 제6회 국악기 전시회(약령시장)
  7. 1994 중국 연변대학원 국악기 기증
  8. 1994 제7회 국악기 전시회(대구시민회관)
  9. 1998 대구광역시 예총 주최 중국 상해 전시회
  10. 1999 일본 히로시마 자매결연 대고(大鼓) 기증
  11. 2000 일본 센다이시 전시회, 일본 센다이시 교육대학교 국악기 기증
  12. 2001 국악기 개인전시회(대구시민회관)
  13. 2008 덕수궁 중요무형문화재 작품 전시
  14. 2009 부천세계 무형문화재 엑스포 참가(전시)

  • 전승교육사 김기웅

  • 전승교육사 권태숙

  • 전수장학생 이상호

 

이수자

김사라

 




총 개, 1 / 페이지
No 제목 글쓴이 날짜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